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주니어 개발자
- 프론트엔드
- 웹코딩
- 쉽게설치
- 코딩
- 리액트훅
- JavaScript
- 하이퍼링크
- jQuery
- html
- 뷰 설치법
- 폼태그
- 배열
- form태그
- node prompt
- 동기
- 비동기
- 반복문
- 프로그래밍
- DOM
- 두잇리액트네이티브
- BOM
- 리액트네이티브배포
- 코딩야학
- JS
- vue.js설치법
- css
- 인스타그램만들기
- 자바스크립트
- 레이아웃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3)
이진욱의코딩

if조건문에서 자주 쓰이는 "==="라는 비교연산자를 살펴봅시다. 블리언이라고 하며 왼쪽에 있는 값과 오른쪽에 있는 값이 같은지를 판단합니다. 같으면 true가 출력이 되고 다르면 false가 출력이 됩니다. comparison operators & boolean === 1===1 1===2 ===는 비교연산자이면서 이항 연산자라는 것입니다. 이항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좌항과 우항이 있고, 좌항과 우항을 결합해서 어떠한 데이터를 만듭니다. 좌항과 우항의 관계에 따라 true 또는 false 중 하나의 값을 만들어내는 연산자입니다. 그리고 true와 false라는 두 가지 값을 묶어서 불리언(boolean)이라고 부릅니다. 결과를 한 번 보시죠. 이런식으로 결과가 나옵니다.

이번시간에는 제가 한 번 앞선내용 복습도 할겸, 이런것도 가능하다 라는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코드를 짜봤습니다. 흔히 우리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할 때를 보면 자기전이나 어두운 곳에서 인터넷 검색이나 이런 활동들을 하는데요 이럴 때 쓰는 야간모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흰색바탕이 검은색으로 색반전이 일어나면서 밤에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로 검색이나 작업을 할 때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토타입으로 만든것이니 많이 허술합니다..... web html css js javascript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벤트나 입력 값을 받아 동적인 처리를 목적으로 고안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HTML 문서에 내재되며,..

이번 시간에는 이벤트라는 것을 알아봅시다 이벤트는 자바스크립트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먼저 코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이번시간에 할 내용은 push버튼을 눌렀을 때 hello world라는 경고창이 뜨게 만드는 것을 할 것입니다. 태그에 type을 button으로 지정하면 버튼모양이 되고, 버튼에 글자를 넣고 싶으면 value라는 속성을 이용하면 됩니다. onclick이라는 속성은 특별한 속성으로, onclick다음에는 반드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와야 합니다. 이처럼 웹 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사건, 영어로는 이벤트(event)라고 합니다. 어떤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어떠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게 하는 것이 onclick이라는 것입니다. 코드를 보면 on..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는 HTML 위에서 동작하는 언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TML이라는 컴퓨터 언어에 완전히 다른 문법을 가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어떻게 넣을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javascript html 10+10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넣을 때는 우선 웹브라우저에게 지금부터 html에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시작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그때 사용하는 태그가 태그입니다. 위의 코드를 살펴보자면, html에서 10+10을 쓰면 영원히 '10+10'이 나오지만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이기 때문에 계산기처럼 동작할 수 있다. 간단하게 요약을 하자면 첫 번째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웹 브라우저에 알려주기 위해 태그를 쓴다는 것이고 두 번째 "HTML은 정적이고, JS는 동적이다."가 핵심입니다.
자바스크립트란? Javascript는 HTML과 CSS로 만들어진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변경해주는 언어입니다. 경고창을 띄우고, 탭인터페이스를 만들고, Drag & Drop 기능의 웹에플리케이션을 만들수 있는거죠. 이 언어의 역사를 조금 이야기 해볼까요? 자바스크립트는 좀 허술한 언어입니다. 기능도 많지 않고, 주류에서 좀 벗어난 객체지향 모델(모르셔도 됩니다)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 때는 자바스크립트가 비웃음의 대상이었어요. 대놓고 말은 안했지만 개발자들은 자바스크립트 뒤에 '따위'를 붙였지요. 쉽기 때문이었어요. 쉽기 때문에 천대 받은거죠. 그러면서 잘하는 개발자는 또 없는 기묘한 상태가 계속됩니다. 필요한게 있으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소스를 Copy & Paste하는게 고작이었죠. 자바스..

이번 시간에 할 내용은 화면의 크기가 줄어들면 색이 바뀌는 반응형웹을 만들어 볼겁니다. 800px을 기준으로 화면크기가 800px보다 클 때, 작을 때의 디자인을 미디어 쿼리를 통해 다르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media(max-width:800px){ body{ background-color: aquamarine; } } @media(min-width:600px){ body{ background-color:pink; } } 이렇게 크기가 800px일 때랑 600px로 변경했을 때 어떻게 바뀌는지 봅시다. 이런식으로 웹창을 줄이거나 늘일 때 색이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반응형 디자인의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를 먼저 보도록 합시다. FedR 블로그 C언어 파이썬 JAVA HTML CSS FedR 블로그는 컴퓨터 언어에 대한 정보가 있는 강좌 블로그 입니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Inventore, nihil labore blanditiis soluta voluptates, possimus ex obcaecati aut quod fuga quos minima facilis sequi harum architecto ipsam a quis ab assumenda eum earum facere quam. Delenit..